한국건축사(개정판)

200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저자 : 주남철

판형 : 4.6배판 양장본 면수 : 550 쪽

발행년월일 : 2006-09-15

ISBN : 89-7641-582-5

학술연구총서 57

가격 : 42,000

우리는 누구인가? 건축이 답한다 우리나라 전통건축 연구에 평생을 바친 저자가 지난 2000년에 낸 책에 최신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고 일부 내용을 수정하여 펴낸 올컬러 개정판이다. 한반도의 구석기시대부터 시작하여 한국 건축문화의 특성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주택 ․ 무덤 ․ 궁궐 ․ 도성 ․ 사찰 ․ 관아 ․ 객사 ․ 학교 ․ 정원 등, 떠올릴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건축물을 소개한다. 건축은 해당 시공간의 자연풍토와 정치 ․ 사회제도, 조형의식과 깊은 관련을 맺는 하나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 낮은 울타리 너머 냇물을 굽어보면서 울 밖 자연공간까지 뜰로 삼았던 우리의 조상들은 자신과 건축 공간 모두를 자연과 융합시키고자 했던 독특한 건축관의 소유자로 평가된다.
한국의 건축공간은 또 하나의 자연공간이었다. 주(主)구조재로 삼은 자연산(産) 목재, 휘어진 나무를 그대로 세운 기둥, 그리고 노년기 지모(地貌)의 완만한 능선과 어울리는 부드러운 지붕의 곡선까지, 이 모두가 한국 건축만이 지닌 고유한 특성이다. 자연을 품고 어느덧 자연 안으로 들어가 버린 독특한 품성의 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 하는 물음에 한국 건축이 답하고 있다.

▶ 풍부한 해설에 사진과 도면이 곁들여진 한국건축사의 결정판
▶ 구석기시대부터 대한제국시대까지의 한국 건축의 역사
▶ 사료에 입각해 충실히 복원 / 재현한 건축물 도면
▶ 전국을 누비며 저자가 손수 찍은 100여 장의 컬러 도판
▶ 문화유산 답사의 훌륭한 길라잡이

들로 산으로 길 나서게 하는 책 한국건축사 통사(通史)인 이 책은 또한 현존하는 건축물에 대한 친절한 해설서이며 발로 뛰어 만든 생생한 현장 보고서이다. 사진에 담을 수 없는 사라진 건축물들은 도면으로 되살린 살뜰한 자료이다. 전국 각지에 흩어진 한국 건축의 면면을 살피다 보면, 자연스레 책을 옆에 끼고 한 손에 사진기를 거머쥔 채 그곳으로 달려가고 싶은 마음이 절로 든다. 경상북도 영주에 있는 전설의 절 부석사(浮石寺). “의상대사가 당에 가서 알게 된 선묘(善妙)가 … 공중을 나는 바위 즉 부석(浮石)이 되어 이곳을 점지하여 … 창건케 하였다는 창건설화가”(141쪽) 전하는 바로 그 절이다. 배치도(141쪽)의 설명을 좇으며 이 절에 산지가람의 특성을 살린 가람배치가 이뤄졌다는 사실, 의상대사가 정토신앙에 밝아 무량수전의 아미타불을 동쪽으로 향하게 했다는 사실(142쪽)을 부석사의 고즈넉한 뜰을 거닐며 깨닫는 즐거움 또한 크지 않을까.
또는, 사라진 가람으로 길 떠나 보자. 경기도 양주의 회암사(檜巖寺). 고려 때 창건한 이 절은 오늘날 덩그러니 절터만 남아 있다. 세조 때 법회를 베풀 적에는 “여래(如來)가 현상(現相)하고 감로(甘露)가 내렸”으며 “채색(彩色) 안개가 공중에 가득 찼다”(353쪽)는 황홀한 전설을 품고 있는 절이다. 발굴도면(359쪽)을 참조해 가며 당간지주 ․ 석계 ․ 나한전지 ․ 설법원 기단(360~362쪽 사진)을 둘러보는 가운데 있음과 없음, 삶과 죽음을 헤아려 보는 의미 있는 여행이 되지 않을까

제1편 총론

제1장 한국건축문화의 특성
1.1. 좌우대칭균형과 비좌우대칭균형의 공존체계
1.2. 선적 구성과 유연성
1.3. 채와 간의 분화
1.4. 개방성과 폐쇄성
1.5. 인간적 척도와 단아함
1.6. 다양성과 통일성
1.7. 사상성
1.8. 자연과 융합성

제2장 한국건축문화의 시대구분

제2편 본론

제1장 삶의 터전 마련과 집짓기
1.1. 사람의 출현과 동굴생활, 한데집 짓기
1.2. 움집 짓기와 농사, 가축 기르기
1.3. 목조가구식구조의 시작

제2장 움집의 발달과 거석구조의 출현
2.1. 청동기 만들기와 쌀 재배
2.2. 거석구조물과 고인돌
2.3. 성읍국가와 도시의 형성
2.4. 지상가옥과 ㄱ자형구들
2.5. 문헌으로 본 집 유형

제3장 삼국의 건국과 궁궐. 도성건축
3.1. 초기 궁궐과 도성건축
3.2. 도읍 옮기기와 새 도성, 궁궐의 영조

제4장 불교의 전래와 사찰건축
4.1. 고구려
4.2. 백제
4.3. 신라

제5장 삼국의 주택건축
5.1. 고구려
5.2. 백제
5.3. 신라

제6장 삼국의 무덤건축
6.1. 고구려
6.2. 백제
6.3. 신라

제7장 삼국의 건축구조체계와 건축의장
7.1. 구조체계
7.2. 건축의장

제8장 남북국시대의 도성과 궁궐
8.1. 통일신라
8.2. 발해

제9장 불교의 융성과 사철건축
9.1. 통일신라
9.2. 발해

제10장 남북국시대의 주택건축
10.1. 통일신라
10.2. 발해

제11장 남북국시대의 무덤건축
11.1. 통일신라
11.2. 발해

제12장 남북국시대의 건축기법
12.1. 통일신라
12.2. 발해

제13장 고려의 건국과 도성. 궁궐건축
13.1. 도성
13.2. 궁궐

제14장 고려의 사찰건축
14.1. 불교의 융성과 사찰건축
14.2. 불전
14.3. 탑파
14.4. 부도

제15장 고려의 주택건축
15.1. 풍수지리와 음양오행론의 영향
15.2. 가사규제
15.3. 주택

제16장 고려의 건축구조체계
16.1. 주심포식구조
16.2. 다포식구조
16.3. 화두아식구조

제17장 조선의 개국과 도성 및 산성 · 읍성의 축성
17.1. 도성의 건설
17.2. 산성
17.3. 읍성

제18장 조선의 법궁과 이궁 영조
18.1. 법궁의 창건과 변천
18.2. 경복궁의 중건
18.3. 이궁

제19장 조선의 관아와 객사
19.1. 관아건축
19.2. 객사건축

제20장 조선의 교육과 학교건축
20.1. 관학
20.2. 사학기관

제21장 조선의 국가제사와 묘 · 단 · 사의 건축
21.1. 종묘
21.2. 단의 건축

제22장 조선의 억불정책과 사찰건축
22.1. 창사와 초창불전
22.2. 중창사찰과 중건 · 중수불전
22.3. 임진왜란 이후의 중창사찰과 중건 · 중수불전
22.4. 탑파건축
22.5. 대방건축

제23장 조선의 주택건축
23.1. 형성의 배경
23.2. 배치와 평면
23.3. 구조
23.4. 임진왜란 이전의 주택건축
23.5. 임진왜란 이후의 주택건축

제24장 조선의 정원
24.1. 구성요소
24.2. 명원

제25장 건축술의 발달과 목조구조체계의 완성
25.1. 화성의 축성과 구조기술의 발달
25.2. 익공구조의 출현과 공포구조의 완성
25.3. 공포양식의 변화

참고문헌

저자 : 주남철

朱南哲 Joo, Nam Chull, Ph. D. 1939-2022 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공학사), 동대학원 졸업(공학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졸업(공학박사) 로마대학교 건축대학(FACOLTÀ DI ARCHITETTURA, UNIVERSITA DI ROMA “ LA SAPIENZA”) 수학(이탈리아 국가초청 장학생)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장식미술과 부교수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교수 서울시 문화재위원회(제1분과) 위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제1분과) 위원 경복궁 복원 정비위원 청와대 춘추관, 관저, 본관 건축자문위원 구조선총독부 청사 철거 자문위원 국제유적기념물협의회 한국위원회(UNESCO ICOMOS KOREA) 위원장 광화문광장 조...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